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반려견의 소화기관의 기능
    반려동물의 모든것 2023. 10. 26. 22:55

    반려견의 소화기관의 기능은 사람과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있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필요한 필수 영양소들을 외부의 유입에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한 영양소 음식들이 소화되고 흡수, 순환, 호흡, 배설을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인간은 초식을 더 많이 하는 잡식성이고 강아지는 육식을 더 하는 잡식입니다. 그러므로 강아지와 인간은 음식을 체내에서 흡수하는 과정이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그러면 소화기관은 어떤 것이 있으며 그 기관이하는 기능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소화

     소화는 몸에 필요한 에너지 원으로 필수 음식물을 흡수하는 과정인데 그것이 이루어지는 곳이 소화기관입니다. 입으로부터 식도, 위, 소장, 대장, 항문을 통해 그 소화과정이 진행되는 것입니다. 음식물이 입으로 들어오는 순간부터 분쇄되고 침과 혼합되면서 위로 이동되는 기계적 작용과 소화액과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화학적 작용을 소화라고 불립니다.

    더 세분화하여 말하자면 입을 통해 음식물이 소화기관으로 들어가는 것을 섭취, 섭취된 음식물이 소화효소에 의해서 작은 단위로 나눠지는 것을 소화, 소화된 음식물이 피를 통하여 몸에 들어가는 것을 흡수, 이러한 흡수된 물질은 신체의 세포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을 동화라고 부릅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소화 도지 못하고 남은 찌꺼기를 배설을 통해 몸 밖으로 내보내지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 요약하자면 소화기관은 음식물을 운반하고 쪼개며 섞고 소화액을 믹스해서 큰 음식물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고 신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작은 음식물 조각을 흡수하고 흡수되지 못한 찌꺼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소화기관의 기능

    1. 입
     입은 주로 음식이 들어가는 첫 번째 단계입니다. 보통 반려견들은 선조인 늑대와 비슷한데 늑대는 모든 것을 다 먹어치울 수 있는 구강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만약 어떤 동물을 먹어치운다면 뼈까지 다 씹어먹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개과에 속하는 동물들은 뼈까지 먹어치우는 것이 특징인 것입니다. 이러한 개들은 어금니 폭이 넓어서 딱딱한 뼈를 위아래로 어금니 사이에 넣고 씹을 수 있습니다. 안쪽의 어금니 수도 많아서 그 기능을 잘할 수 있습니다. 앞니로 자르고, 송곳니는 뚫거나 찢으며, 어금니로 갈고 짓이기는 식으로 각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음식물의 형태나 냄새의 자극에 침이 분비되는데 이 침은 음식물을 쉽게 삼킬 수 있도록 촉촉하고 부드럽게 만들어 줍니다. 하지만 개의 침에는 사람보다 적은 아밀라아제가 있어 충분히 분비되지 못해 이빨의 역할이 더 중요한 것이지요. 하지만 개의 침에는 라이소자임이라는 항균성 효소가 많아  음식을 통해서 들어올 수 있는 세균들을 죽이기도 합니다.

    2. 식도
    식도는 입에서 넘어온 음식물이 식도 내의 후두개라는 작은 덮개 같은 기관을 닫음으로써 기도가 아닌 위로 넘어가게 됩니다. 식도는 음식물을 위로 넘어가게 하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치약을 짜내듯 식도 내부의 부드러운 근육 수축을 통해 음식물들이 식도를 통해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운동을 연동운동이라고 합니다.

    3. 위
     위는 반려견과 인간의 소화기관중  가장 다른 부분으로 역할을 합니다. 사람과는 다르게 반려견의 위는 음식이 들어있지 않을 때는 접혀있는 형태를 지니게 됩니다. 접히는 물통처럼 공복 시에 접혀있다가 음식물이 들어오면 접혀있던 부분이 펼쳐지면서 확장됩니다. 개들의 위는 한 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소화시킬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들의 위는 접히는 부분에 강한 근육이 있어서 음식 와 소화액이 접촉하여 소회 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사람의 위는 소화기관 전체의 약 20% 정도를 차지하는 반면 개의 위는 소화기관 천체의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큰 부분입니다. 보통 사람의 위는 산성인데 반려견의 위도 산성이지만 좀 더 강력한 산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4. 소장

     소장은 가운데가 비어있는 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안쪽 면은 손가락형태의 융모로 이루어져 있고 영양분의 소화, 흡수가 잘 될 수 있도록 표면적을 증가시킵니다. 주요 소화기관 중에는 췌장과 담낭이 있는데 여기서 소화액이 나오고 소장과 연결되어 있어서 음식물 특히 단백질과 지방이 소화되는 것을 돕고 있습니다. 소장의 주요한 역할은 위에서 내려온 액체 음식으로부터 대부분의 영양소를 흡수하는 것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영양소가 소장에서 혈액으로 흡수되고 이 혈류를 통해서 몸의 모든 부분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 줍니다.

     

    5. 대장

     대장은 소장에서 들어온 음식물에서 대장을 통과하는 동안에 물과 전해질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일정 수준의 신체의 수분을 유지합니다. 그리고 소화가 어려운 물질을 분해하기 위해 박테리아가 대장에서 생성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대변이 만들어지고 항문을 통해서 나갈 때까지 저장하고 대기하는 곳이 이 대장입니다. 대장의 끝 부분에 위치한 직장은 개의 소화기관의 마지막 지점인 것입니다. 

     

     위의 글에서 보셨듯 개의 소화 시스템은 육식성 잡식으로 음식물을 찢고 부수는 역할을 하는 턱과 구강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음식의 소화를 위한 것보다는 박테리아, 세균을 죽이기 위한 침의 구성이 발달되어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또 인간의 위보다는 더 산성입니다. 췌장과 담낭에서 나온 효소로 단백질과 지방이 분해합니다. 하지만 단백질과 지방을 이용해 글리코겐을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탄수화물은 요구되지 않는 다른 점이 있고 또 소장과 대장이 사람보다는 짧고 맹장은 발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